(스포) 하얼빈. 저는 나름 잘만든 영화라 생각들었습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어제 오전에 f는데 이제야 후기를 남기네요. 후기남기려 뽐뿌 들어와봤더니 평이 정말 안좋은 부분에 의외였습니다. 1. 일단 솔직히 오락영화로서 재미는 없습니다. 감독이 작정하고 재미는 배제하고 만들었음이 느껴져요. 이미 역사적으로 유명한 사실을영화하 한부분으로 사실을 그대로 보여주려 노력하면서 영상과 음악에 엄청 공들였음이 느껴집니다. 그래서 재미있는 영화를 봤다기 보다 연기잘하는 멋진 배우들을 데리고 막대한 자본을 들여 보기 좋게 잘 재현했구나 생각했습니다.
2. 이토히로부미의 대사장면으로 논란이 많은데 저는 개인적으로 반대로 생각합니다. 감독은 그러한 역사관을 갖고있는 일본입장을 일본인의 입장에서 말하는 부분을 가감없이 보여줌으로서 그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움직였는지 말하고싶었던것같습니다. 그것에대해 영화상에 어느누구도 호응하지도 반대하거나 그러지도 않습니다. 일부러 그렇게 처리를 한것같은데 그냥 우리와 반대입장 독립군의 반대입장에서 그들이 식민지배를 한것에대한 합리화를 있는 그대로 전달합니다. ( 아마 개인적 생각으론 감독의도는 그들의 주장이 맞다고 생각하여 그런 장면을 넣은것이 아니라 그들이 얼마나 말도 안되는 생각을 하고있었는지 현실적으로 보여주기위한 장면으로 독립이후에도 지금까지도 극우들에게는 대한민국 식민지배 했던걸 합리화 하고 있다는 현실을 강조하기위함이 아니엇나 생각듭니다.)
3. 영화는 철저하게 안중근에의한 안중근을 위한 안중근의 영화입니다. 암살이나 밀정처럼 처절하게 독립군들이 싸우고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치고 독립운동과정을 보여 주기위한 서사를 중요시 하지 않습니다. 안중근이란 대단한 영웅적 사람이 있었고 그사람은 조선인이었으며 하필 조선은 일본에게 나라를 뺏기게 되엇다. 그래서 안중근이란 사람은 독립운동을 했고 그 과정에서 안중근의 이란 사람이 어떤 과정이 있었고 어떤 고뇌가 있었고 어떤 선택을 하는지 위주로 보여줍니다. 영화는 역사적 큰 사실을 서사적으로 풀어내기 보다는 인물에 촛점을 맞추다 보니 생략된 장면과 설명없는 장면이 많아 뚝뚝끊기고 독립군의 저항이 치밀하지 못해 보였던거 같습니다. 이 또한 감독의 의도같은데.... 이부분이 잘했다기 보다 감독은 아마도 이미 모두가 알고있는 사실을 서사적으로 이야기하는건 너무 뻔하다 생각한게 아닌가... 그래서 이미 알고있는 사실을 영화적으로 멋지게 보여주기보다 그 사건 중심에 있는 안중근이란 인물에 집중해보자 생각한게 아닌가 생각이 들엇습니다.
4. 결론 : 3번 이유때문에 영화적으로 재미는 없었습니다. 단순 현빈이 멋있고 한장면 하나 하나는 멋지고 그속에 음악은 멋졌으나 제작비가 굉장히 많이 들어간 엄청 비싼 다큐를 본느낌입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영화는 잘만든 영화라 생각합니다. 재미는 없지만 영화자체는 잘만들엇고 신경 많이 ㎞ 정말 공들였구나 느껴지는 영화였습니다. 어설픈 성냥팔이재림 같은 쓰레기영화랑은 비교할게 아니라 생각듭니다. 최동훈같이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갔으면 더할나위 없이 좋앗겠지만 같은 길을 가고 싶지 않은 감독의 고집도 있었던것같네요.
절대 친일영화는 아니며 극장에서 돈주고 f을때 돈이 아까운 그런 망작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 개인적으로 마지막 장면이 인상적인데.... 그부분은 지금 시국에 맞혀서 개봉전 따로 나레이션을 딴게 아닌가 생각이 들정도로 지금시국에 맞아떨어져 국민들에게 아니 나에게 말해주고있는것같아 울림이 있었습니다. |
- 이전글윤석열이 무섭긴 무섭나보네요 24.12.25
- 다음글이재명을 싫어하고 대선 나가는걸 막는 정치인들 공통점 24.12.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