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모 자동차 유튜버들이 극찬했던 엔진오일의 실체 ㄷ ㄷ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펌) 모 자동차 유튜버들이 극찬했던 엔진오일의 실체 ㄷ ㄷ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임차희
댓글 0건 조회 1,007회 작성일 23-03-10 07:37

본문


 



20230309211149_7h0nKF4Azv.jpg


 



김보훈 박사님 코멘트 :






Lab Lubricants #3 Platinum Double Ester 5W-30 신유분석 보고서입니다. 제품에 Made in Holland 라는 문구와 Lab lubricants라는 제조사 홈페이지가 표기되어 있어, 제품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기 위해 해당 홈페이지 주소로 들어갔습니다만, 도메인을 매매하는 사이트로 이동되어 홈페이지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때문에 네덜란드에서 판매되고 있는 거의 모든 제품을 찾아 보았는데 Lab Lubricants 라는 제품은 볼수 없었습니다.






뒷면 스티커 하단을 살펴보니 한국말로 경고표시가 라벨과 같이 프린트 되어 붙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제품이 한국에서 생산되었거나 해외에서 생산되더라도 한국 회사에서 생산 제조를 컨트롤 했다는 의미입니다. 용기의 옆에 독일어가 써져 있는데 아마도 최근 Made in Germany 로 수입되어 오는 이상한 엔진오일이 있는데 이 제품이 만들어진 곳에서 같이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제품은 한국에서만 홍보를 하는데 정식 홈페이지가 아닌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으로만 홍보되고 있습니다. 제품을 7가지로 구분해서 1번부터 4번까지는 Ester 기유로 5번부터 6번까지는 PAO 기유로 7번은 하이브리드 용으로 만들었고 각각의 스펙에 맞게 만들어 졌다고 명시했습니다. 의뢰 받은 제품은 3번으로 Platium Double Ester 라고 해서 Ester 기유 기반으로 만들어진 장수명 오일이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FT-IR 분석시 Ester 는 첨가제 패키지에 미량 들어가 있는 정도로 관찰되며 거의 없는 것과 마찬가지였습니다.






제품으로 명시된 규격은 ACEA C2/C3, VW 504.00/507.00, BMW LL-04, MB 229.51, PORSCHE C30 규격 만족으로 판단되며 가솔린 및 디젤용 엔진오일입니다



신유에서 질화(Nitration)반응 및 산화(Oxidation)반응에 대한 검출은 없습니다. 질화(Nitration) 반응이 미량 검출되긴 하나 이 역시 첨가제 패키지에 들어있는 정도의 것으로 거의 없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결과적으로 질소 화합물 첨가제와 에스테르 기유 또는 특수 폴리머의 사용이 없는것으로 판단됩니다. 제품명에 있는 Double Ester와는 다르게 에스테르는 전혀 관찰되지 않고 있으며, FT-IR 분석 그래프에서도 1700~1750 cm-1 파장대의 에스테르 peak은 거의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Lab Lubricants #3 Platinum Double Ester 5W-30 제품에는 에스테르 기유가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FT-IR 그래프에 근거, PAO 기유도 전혀 쓰이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Group III 로만 만들어진 엔진오일입니다.






점도는 5W-30이며, 온도 100도에서의 동점도는 12.3 cSt, 40도에서의 동점도는 75 cSt로 분석되었습니다. SAE J300 xW-30의 100도 동점도 규격은 9.3~12.5 cSt 사이이어야 합니다. 측정값 12.3 cSt은 규격내에서 최대치에 가깝게 맞추어져 있습니다. 이는 ACEA C3급의 HTHS 3.5 mPa*s 를 맞추기 위함이며, 최대치를 만들어 유막의 두께를 확보해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함입니다.






TBN (전염기가)은 6.7 mgKOH/g 로 분석되었습니다. ACEA C3 카테고리의 규격들이므로 TBN이 6.0 mgKOH/g 이상이면 되기 때문에 측정값 6.7 mgKOH/g은 문제없습니다.






주요 첨가제 원소분석 결과(평균값)입니다. 마찰 저감제로 쓰인 몰리브덴(Mo)이 78 ppm 사용되었습니다. 요구하고 있는 규격에 맞게 마찰 감소로 인한 성능 개선과 연비개선 효과를 위한 정량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극압 첨가제인 붕소(B)는 8 ppm 검출이 확인되며, 이 정도의 양은 극압첨가제 역할로 쓰여졌다기 보다는 마모 방지 첨가제 ZDDP로부터 섞여 나온 불순물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마모 방지 첨가제인 ZDDP 의 성분으로 인(P)은 735 ppm이 아연(Zn)은 813 ppm 이 검출 됩니다. ACEA C3 규격의 인(P) 성분이 700~900 ppm 사이이므로 분석된 인(P)의 양 735 ppm은 정상입니다.



청정제 성분으로 칼슘(Ca)이 1,537 ppm 사용되었으며 마그네슘(Mg) 은 4 ppm이 관찰됩니다. 마그네슘(Mg)의 양은 칼슘(Ca) 첨가제에 섞여 나오는 미량이므로 LSPI 저감용 엔진오일은 아닌것으로 판단됩니다.



이 밖의 다른 금속성분으로 실리콘(Si)과 나트륨(Na)이 각각 3 ppm, 5 ppm 검출되며 실리콘(Si)의 경우 미량이므로 큰 의미는 없으며, 나트륨(Na)은 칼슘 청정제 사용시 일부 들어간 불순물로 보입니다.






정리하겠습니다. Lab Lubricants #3 Platinum Double Ester 5W-30 신유분석 보고서 입니다. 명시된 규격은 ACEA C2/C3, VW 504.00/507.00, BMW LL-04, MB 229.51, PORSCHE C30 이고 규격 만족입니다. 제품은 네덜란드 제품이라고 쓰여져 있는데 네덜란드에서 찾아볼 수 없는 제품이며 홈페이지도 없습니다. 한국에서 블로그, 인스타그램, 페이스북으로만 홍보가 되는 제품이며, 해외 수입제품이라고 특히 독일 제품이라고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을 생산하는 곳에서 같이 주문 생산되어 들어온 제품으로 보여집니다.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에 찍혀진 문구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제품의 이름을 플래티넘 더블 에스테르 라고 명시했으나 Ester 나 PAO 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Group III 로만 만들어진 엔진오일입니다.



점도는 5W-30 이며 타겟 점도는 최대값에 맞춰져 있습니다. 유막두께를 두껍게 해서 내구성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만들어졌습니다. TBN 양, 마찰저감제 몰리브덴(Mo) 양, 마모방지첨가제 ZDDP 함량, 청정제 함량 등 모두 규격에 딱 맞게 정량 들어 있습니다. 즉 이 제품은 Group III 기유에 규격에 맞는 첨가제 패키지를 넣어 혼합해 만든 일반적인 엔진오일 제품입니다. 장수명이라고 명시하고 판매를 하고 있는데 일반 엔진오일이므로 만약 장수명으로 생각하고 오랫동안 사용한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겠습니다. 레이싱과 같은 가혹 운전에 사용한다면 교환주기를 짧게 사용해야 하겠습니다. 나쁜 엔진오일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나 제품 표기와 홍보에 문제가 있습니다. Group III 로 만들어지고 규격 ACEA C2/C3, VW 504.00/507.00, BMW LL-04, MB 229.51, PORSCHE C30 을 만족하는 일반 엔진오일입니다. 명시된 이름인 Ester 기유 기반의 장수명 엔진오일이 아니므로 이점 유의 하시라고 말씀드립니다. 



20230309211202_kl741TSMM5.jpg


 


 저게 리터당 3만원 가까이하는 오일 






쉽게 말하면 리터당 5~6천원하는 국산 오일이랑 비슷하거나,못하다는 소리 






예전부터 카센터에서 리터당 2~3만원이상에 취급하는 듣도보도못한 메이커의 오일들은 대부분 호갱용이라 생각하고 






저런거 쓸바에 리터당 1만원 초중반대 메이저 정유사 오일 쓰고 말지라고 생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CODE404 / 대표 : 이승원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138-30, 9층
사업자 등록번호 : 456-03-01654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20의정부호원0046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지혜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830
어제
1,534
최대
3,461
전체
692,464
Copyright © PONO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