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P 배터리 무식한 배터리 아저씨말로는 중국내에서 지들끼리 사용하다 곧 없어질 배터리라는데, 왜 갑자기 뜬금없이 배터리 3사가 이를 양산하겠다고 나섰는지, 최근에는 포드에 이어 테슬라까지 관심을 보일까요 궁금하지 않습니까
한마디로 지금의 (3원계 배터리)가 너무 비싸기 때문이죠. 여기서 비싸다는 건 먼저 완성체 업체 입장에서 보면, 차값의 40%가 배터리이기 때문에, 차 한 대 팔아봐야 배터리업체만 좋은 일 시키고 전기차업체는 팔면 팔수록 손해가 발생한다는 거죠. 지금 전기차로 이익내는데는 테슬라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내심 전기차 시대가 오는 걸 테슬라 빼고 다 싫어합니다. 오더라도 늦게 왔으면 합니다. 그럼에도 전기차시장에 뛰어든 건은 대세라 어쩔 수 없어 그런거지만, 또 하나는 배터리가격이 점차 떨어질 거라는 기대가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KW당 배터리가격이 130-150불인데, 곧 100불까지 떨어질거라는 기대죠. 실제 몇 년전만 해도 이런 전망들이 꽤 나왔습니다.
2024년 전기차 '원년' 되나…"배터리 가격 100달러 무너진다.
<<전기차 배터리 가격의 하락세가 이어지며 오는 2024년에는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가격 패리티'(Price parity)가 올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BNEF)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2024년 배터리팩 가격이 1kWh(킬로와트시)당 100달러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올해(2019) 배터리팩 가격인 156달러 대비 36%가량 하락한 수준으로 2010년(1천100달러)과 비교하면 10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여기서 100달러라는 수치가 중요한 건 내가 다른 글에서 ㏊資/span>, 배터리가격이 100달러를 밑돌면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가격이 같아지는, 일종의 매직넘버 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기차시장을 전망할 때 이 매직넘버가 핵심 키워드입니다. (배터리 아저씨의 분석과 예측이 줄줄이 틀리는 이유는 이 아저씨 머리속에 이 개념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것만 머리에 넣어두고 있으면, 전기차차의 향후 전망 소나 개나 다할 수 있습니다)
100달러 이하로 떨어져야 완성차 업체에서는 내연기관차와 비슷한 영업이익율을 달성할 수 있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내연기관차와 가격이 비슷하니까 부담없이 전기차를 살 수 있고. 또 정부 입장에서는 더 이상 국민 세금으로 보조금을 주지 않아서 좋고. 나아거 내연기관차 생산중단을 해도 반발이 없을거고.
근데 이런 낙관론이 최근 들어 분위기가 싸해졌습니다. 2021년에 이미 다음 기사제목을 보세요.
“배터리 가격,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인상됐다.”
“<<7일 <블룸버그>와 <파이낸셜타임즈> 등 외신은 시장 조사기관 블룸버그엔이에프(NEF) 발표를 인용해, 올해 전기차 배터리 팩 가격이 ㎾h당 151달러로, 지난해보다 7%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2023년에는 ㎾h당 152달러로 더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차 배터리 팩 가격 상승은 이 조사기관이 가격을 조사해 발표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처음이다. “
주된 이유는 당근 광물가격의 상승 때문입니다.
“완성차 업계는 배터리 팩 가격이 계속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변수는 배터리 소재로 쓰이는 광물 가격이었다.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거란 기대감에 배터리 소재로 사용되는 광물 가격이 크게 올랐다. 지난해 초와 비교해, 리튬 가격은 10배 올랐고, 니켈 가격도 75% 상승했다. 코발트 가격은 2020년 평균 가격과 비교해 두 배 넘게 뛰었다.”
블룸버그엔이에프는 2024년 가면 배터리 팩 가격이 다시 하락하고, 2026년에는 ㎾h당 100달러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는데, 이것도 가봐야 아는 거죠. 무식한 배터리 아저씨말로는 광물가격이 올라서 배터리가격이 지금보다 더 오른다고 장담하는데 잘 되겠어요
그런데 지금까지 이야기는 삼원계 기준이고, LFP배터리는 다르죠. 다음 기사를 보면
“배터리 가격,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인상됐다.”
“배터리가격은 2022년에 더 오를 수 있었지만, 이는 더 저렴한 LFP 화학 물질의 사용 증가와 니켈 기반 음극에서 값비싼 코발트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해 폭이 더 커지지 않았다고 블룸버그NEF는 분석했다. LFP 배터리가 셀 수준에서 전기차 배터리에서 20% 더 낮은 92달러/kWh였다는 것이다.”
이 기사에 따르면, LFP배터리는 이미 매직넘버 100달러보다 낮은 92달러에 도달했네요. 중국이 작년에 보조금을 폐지한 건 이 매직넘버 도달을 근거로 한거 아닐까요
자 이제 왜 K-배터리가 LFP배터리 양산에 뛰어든 이유, 포드와 테슬라가 LFP배터리를 탑재하겠다는 이유를 알겠죠(사실 테슬라뿐 아니라 BMW 벤스, 아우디도 LFP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입니다). 광물가격은 오르고, 게임체인저라는 테슬라판 4680 배터리는 언제 양산될지 알 수 없어 매직넘버를 아직도 하세월 기대려야하는데 LFP배터리는 벌써 매직넘버에 도달햇다고 솔깃할 수 밖에 없겠죠. 더구나 M3P 개발로 에너지밀도가 삼원계에 상당 정도 따라 붙었다니.. 이정도면 LFP배터리 안쓰겠다면 그 사람이 이상한 늠이죠.
LFP배터리 수혜주를 찾아라~~
한줄 요약: LFP배터리는 삼원계배터리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 한 안 사라집니다. 더구나 배터리 아저씨 말로는 2030년까지 광물가격이 올라 배터리가 지금보다 2배나 비싸지면 LFP 배터리 세상만 더 빨리 옵니다.
~~~~~LFP배터리 수혜주를 찾아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