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체가 사실이면 2차전지, 양극재업체가 수혜주죠.
페이지 정보

본문
초전도체 할아버지라도 자동차, 로봇,드론등 무선작동 장비면 배터리가 필수고요. 배터리 필요없다는건 그냥 헛소립니다 오히려 첫 수혜일가능성이 훨씬 큽니다.
첫째로 lk-99 의 물성을 살펴보면 일단 연성이 떨어져 보이고 상용화 되어도 초기엔 수센티 이하의 크기와 판상구조 부터 만들어질것 같습니다.
이 말은 전선처럼 굴곡진 형태로 대규모 사용이 힘들다는뜻. 따라서 99 또는 그것에서 파생된 초전도체가 상용화 된다면 우선적으로 소규모 고형 또는 얇은 형태가 될 가능성이 크죠.
배터리를 전기자동차 처럼 좁은구조에 대량 집어넣었을때 가장 우려되는것이 발열인데 배터리 사이 또는 기타 제어회로에 집어넣어 발열을 낮추어 화재위험을 감소시키는것 이외 발열에 의한 효율감소를 줄여 주행거리를 늘릴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실패사례가 나오는걸 보면 lk99의 조성 재료를 정확하게 혼합한후 정확한 온도로 소성하는 과정이 기술적 해자가 될 가능성이 크더군요.
이거 어디서 많이 보던 과정인데.. 바로 양극재 제조공정과 거의 비슷한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ncm 전구체를 만들고 정확한온도와 시간으로 대량의 양극재를 소성해 만드는 기술은 우리나라가 최고죠.
즉. lk99가 상용화 된다면 양극재업체가 제조업체가 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곰탕 잘하는집이 설렁탕도 잘할 가능성이 큰것처럼요.
암튼 lk99가 사실이고 상용화 된다면 그깟 노벨상 따위 일만큼 인류를 퀀텀점프 시킬 기술인건 분명하고요.
제발 진짜이기를 바랍니다. |
- 이전글32살 청년의 하루 식사량 ㄷ.jpg 23.08.01
- 다음글공무원 준비하다 인생 말아먹는 실제 사례.jpg 23.08.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