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악산의 맹금류(새매의 출현, 사진 다수)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감악산의 맹금류(새매의 출현, 사진 다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파스텔
댓글 0건 조회 474회 작성일 23-08-20 12:02

본문


어제 오랜만에 경기북부에 있는 감악산에 다녀왔습니다. 자주 가는 산인데 요근래 사정이 있어서

산에 잘 못갔네요. 원래는 임꺽정봉에서 시원한 조망을 보고 싶었는데 하늘이 안좋아 아쉬워 하던차에


올라올때 악귀봉에서 멀리 임꺽정봉 방향으로 까만새가 보여서 까마귀 인줄 알았는데 느낌상 다른새 일거


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이추측이 맞아서 조망이 없어 심심한 산행이 되었을 뻔한 산행을 한번도 보지 못한


맹금류가 재미있게 해주었네요. 아주 흥미로웠습니다. 


 


 


  *산행코스 : 감악산 출렁다리 제1주차장> 출렁다리 > 악귀봉> 장군봉 > 임꺽정봉 >


 


                 감악산정상 > 까치봉 > 묵은밭 > 범륜사 > 운계전망대 > 범륜사 > 출렁다리 > 원점회귀


 


  * 산행거리와 시간 :  약 7.8 km  /   5시간 15분(쉬는시간과 촬영시간 포함)


 


 


 


 


20230819151424_FZpI4mgjYD.jpg


 


제1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출렁다리로 올라갑니다.


 


 


 


 


 


 


20230819151426_WIeO9kjbJ6.jpg


 


 


 


 


 


 


 


 


20230819151430_XDByllV00U.jpg


 


악귀봉에 도착하기 까지 땀을 한바가지 흘려서 상의가 흥건하게 젖은걸 여기서 좀 쉬면서 땀좀 말리다가 올라갑니다. 


쉬고 있는데 임꺽정봉 방향에 검은새가 날아 다니길래 까마귀 이겠거니 했는데 자세히 보니 까마귀가 아닐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에 다시 부지런히 장군봉을 향해 올라갑니다. 비행동작과 몸뚱아리 색깔이 검은색이 아닌걸로 보여서 까마귀가 아닌거


같은 생각이 들더군요.




 


 


 


20230819151434_nHp33W3Bgo.jpg


 


저기 기상레이더 오른쪽에 있는 암릉으로 된 봉우리가 장군봉 입니다.


 


 


 


 


 


 


20230819151440_KsQYDyoxFC.jpg


 


통천문. 보통 통천문 하면 저 앞에 길이 있을꺼 같지만 저 통천문은 길이 없습니다.


 


 


 


 


 


 


20230819151443_MaheNOzusO.jpg


 


저기 봉우리가 형소봉. 장군봉 가기전 형소봉이 있는데 저기는 갈때마다 그냥 지나치네요ㅎ


 


 


 


 


 


 


20230819151445_R4byUzEfqO.jpg


 


장군봉


 


 


 


 


 


 


20230819151447_vI2ok16INI.jpg


 


장군봉에서 바라본 악귀봉


 


 


 


 


 


 


20230819151453_Y1wpgm3BVe.jpg


 


장군봉에서 바라본 형소봉


 


 


 


 


 


 


20230819151455_LsXErbgEak.jpg


 


두시간 조금 안걸려서 임꺽정봉에 도착.  바로 임꺽정봉 아래에 조망터로 향합니다. 저 정상석이 있는곳에서는 조망이 그다지 안좋고


임꺽정봉 아래에 한두명 정도 앉을수 있는 곳이 있는데 거기가 조망이 훌륭합니다. 정상석 뒤로 출입금지 펜스가 있는데 그 펜스를


넘지 않고 돌아서 안전하게 갈수 있는 길이 있으니 조금만 더 시간을 가지고 찾으시면 어렵지 않게 찾으실수 있습니다.


 


 


 


 


 


 


20230819151457_ypc9jPDDmY.jpg


 


화악산,명지산 방향인데 흐려서 보이지를 않네요. 개방감이 주는 쾌감이 좋은 조망터 인데 간만에 올라왔는데 좀 아쉽더군요.


바로앞 마차산과 그 뒤 소요산도 흐릿하게 보일 정도이니..  북한산은 아예 보일 기미 조차 없더군요.


 


 


 


 


 


 


20230819151500_w5GBjFCgFN.jpg


 


원당저수지


 


 


 


 


 


 


20230819151502_pGoi32OMRQ.jpg


 


신암저수지. 저쪽으로도 올라오면 감악산 하늘데크길로 해서 올라올수도 있는데 하늘데크길이 점검차원으로 막힌거 같더군요.


 


 


 


 


 


 


20230819151504_jsOBzP6XKo.jpg


 


닭의 장풀 


 


 


 


 


 


20230819151558_dkb1rxPq7x.jpg


 


드디어 모습을 드러낸 맹금류. 처음엔 황조롱이 인줄 알았는데 황조롱이는 아니고 매의 일종인거 같았고 집에 와서 찾아보니


"새매" 이더군요.  참매와 많이 헷갈리던데 참매였으면 완전 운수대통한 날이었겠죠ㅎ


 


  *새매* 


 


분류수리과(Accipitridae)
문화재 지정천연기념물 323-4호
서식지유럽, 아프리카, 중동, 시베리아, 캄차카, 중국 동부, 히말라야, 일본에서 번식한다.
크기수컷 33~34.5cm, 암컷 40~41cm
학명Accipiter nisus Eurasian Sparrowhawk

 



서식


유럽, 아프리카, 중동, 시베리아, 캄차카, 중국 동부, 히말라야, 일본에서 번식한다. 지리적으로 7아종으로 나눈다. 흔한 나그네새이며 흔한 겨울철새다. 10월 초순에 도래해 월동하며, 5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2015년 5월 경기도 포천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




행동


평지에서 아고산대의 산림에 서식한다. 비번식기에도 단독으로 생활한다. 작은 곤충, 조류, 쥐 등을 포식한다. 한배 산란수는 4~5개이며, 포란기간은 32~34일이다. 새끼는 24~30일간 둥지에 머문다.




특징


조롱이와 혼동하기 쉽다. 날 때 몸바깥쪽의 첫째날개깃 6장이 붙어 있지 않고 갈라진다(칼깃 6장). 노란색 눈테가 조롱이보다 폭 좁다. 멱에 흑갈색 세로 줄무늬가 여러 줄 있다.


수컷

몸윗면은 청흑색, 귀깃 아랫부분과 가슴옆 부분에 주황색이 있다. 몸아랫면은 흰색이며 주황색 가로 줄무늬가 있다. 홍채는 등색을 띠는 노란색이다.


암컷

수컷보다 뚜렷이 크다. 몸윗면은 회갈색인 경우가 많다. 흰 눈썹선은 수컷보다 더 뚜렷하다. 몸아랫면은 흰색에 가는 흑갈색 가로 줄무늬가 흩어져 있다. 홍채는 노란색이다.


어린새

몸윗면의 깃 가장자리는 황갈색으로 비늘무늬가 있다. 수컷은 눈썹선이 약하며 암컷은 흰색이 뚜렷하다. 귀깃은 흑갈색이며 귀깃 뒤에서 뒷목까지 적갈색 바탕에 검은 줄무늬가 있다. 멱에서 앞가슴까지 V자 형 적갈색 줄무늬가 있으며 배와 옆구리에 一자 형 가로 줄무늬가 있다. 몸아랫면의 줄무늬는 조롱이보다 가늘고 조밀하다.



 


 


 


 


 


 


 


20230819151608_MewmQyvZOU.jpg


 


넓직한 등판과 매서운 눈빛, 뾰족한 부리는 영락없이 맹금류 이네요. 암놈으로 보여 집니다. 어차피 조망도 이번에도 망했겠다 이녀석을


계속 쫓아 보기로 합니다.  임꺽정봉과 감악산 정상 사이에 무명봉이 하나 더 있는데 저기를 계속 왔다갔다 하더군요.


 


 


 


 


 


 


20230819151613_tcAwmqCOI1.jpg


 


 


 


 


 


 


 


 


20230819151713_z5T58zuoU3.jpg


 


 


 


 


 


 


 


 


20230819151900_bkYRjBaxQn.jpg


 


정면 샷


 


 


 


 


 


 


20230819151906_nu7dC0kuWe.jpg


 


 


 


 


 


 


 


 


20230819151923_65OobecPki.jpg


 


 


 


 


 


 


 


 


20230819152038_MhpY0RVd3j.jpg


 


 


 


 


 


 


 




20230819152520_ZhYJqicVfy.jpg


 


무보정 논크롭 샷1


 


 


 


 


 


 


20230819152522_msRs9vxc4B.jpg


 


무보정 논크롭 샷2


 


 


 


 


 


 


20230819152524_LjeXpai4Nt.jpg


 


무보정 논크롭 샷3


 


 


 


 


 


 


20230819152526_cmCTAEksTc.jpg


 


 무보정 논크롭 샷4


 


 


 


 


 


 


20230819152621_HWeAbOQZqr.jpg


 


고추잠자리.  감악산정상과 임꺽정봉사이의 무명봉을 계속 왔다갔다 하길래 짐을 챙겨서 그쪽으로 이동 합니다.


 


 


 


 


 


 


 


20230819152652_roonz0Nkqj.jpg


 


무명봉을 보니 조심만 하면 올라가는데 무리가 없더군요. 망원카메라만 챙겨서 무명봉을 올라 갔는데 눈앞으로 이녀석이


휙 지나가더군요. 다시 지나가길만을 기다리는데 나를 의식했는지 가까이 안옵니다. 몸을 숨겨서 조금 기다리니 가까이


날라 왔는데 찍는데는 성공했지만 이번엔 또 역광에 들어가서..ㅎ  집에 돌아와서 복원을 한 사진 입니다.


 


 


 


 


 


 


20230819152701_7ADe5fPuDB.jpg


 


두마리가 계속 서로 발길질 하면서 공중에서 쇼를 하더군요ㅎ  이렇게 비행하면서 영역에서의 세력을 키우는 거라고 합니다. 


감악산은 까마귀가 많은데 아마도 까마귀들과의 세력 싸움이 있지 않을까 추측해보네요. 이날도 까마귀가 새매에 가까이 가지는 


않고 주위에서 맴돌더군요. 


 


 


 


 


 


 


20230819152743_XJxwxDToGP.jpg


 


 


 


 


 


 


 


 


20230819152748_W1UaSu82Sg.jpg


 


공중에서 둘이 계속 비행쇼를 보여주는데 맹금들이 이렇게 공중에서 비행하는 모습은 처음 봐서 한참을 보다가 점점 멀어져서 


무명봉에서 내려옵니다.  


 


 


 


 


 


 


20230819152829_V17agp2V8b.jpg


 


감악산에 정상석이 하나더 새로 생겼더군요. 근데 정상석 한개를 양주시,파주시가 공동으로 만들었나 보네요.공동제작은 못본거 같은데..


 


 


 


 


 


 


20230819152831_uzcuv8UDuJ.jpg


 


미롱이 고롱이는 여전히 잘 있고..


 


 


 


 


 


 


20230819152834_GZee2CFju5.jpg


 


메꽃 


 


 


 


 


 


20230819152835_ybHt4Ysg1z.jpg


 


감악산정상에 오니 새매 2마리가 아닌 3마리가 공중에서 비행을 하고 있더군요. 건강하게 오래오래 머무르길 바라며 하산 합니다.


 


 


 


 


 


 


20230819152837_T3Dt9nFKyO.jpg


 


 


 


 


 


 


 


 


20230819152841_MOC6ch6auE.jpg


 


가야할 까치봉. 


 


 


 


 


 


 


20230819152844_oG5g0bK8nv.jpg


 


까치봉을 지나 묵은밭으로 내려갑니다.


 


 


 


 


 


 


20230819152847_eF7JGCQ7Or.jpg


 


운계전망대는 구지 안들리셔도 될꺼 같습니다. 범륜사에서 왔다갔다 해야 하는데 고개 하나 넘어가야 하고 들인 수고에 비해


그닥 볼게 없습니다.


 


 


 


 


 


 


20230819152850_MEbJMz6aqI.jpg


 


운계폭포. 엄청난 날벌레들 때문에 사진 찍기도 쉽지 않더군요. 이날 산행내내 정상 부근에는 날벌레들이 별로 없었지만


그외에는 날벌레들 때문에 한손이 계속 쉬지를 못했네요. 예전엔 이렇게 날벌레들이 없었던거 같은데.. 


 


 


 


 


 


 


20230819152854_e1fAnIeY1T.jpg


 


아침에 건너왔던 출렁다리를 또 건너며 이날 산행을 마무리 합니다. 


 


 


감악산에 간만에 갔는데 조망도 없고 날벌레들 때문에 좀더 힘들었던 산행이 되었을 뻔한 산행에  


산정상에서 처음 본 맹금류 새매를 자세히 관찰할수 있어서 기분좋게 마무리 할수 있었습니다. 


산행거리에 비해 땀을 너무 많이 흘렸고 산을 1개 더 탈 계획이었는데 너무 더워서 그건 포기했습니다.


막바지 더위 조심하시고 모든분들 안산즐산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CODE404 / 대표 : 이승원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138-30, 9층
사업자 등록번호 : 456-03-01654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20의정부호원0046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지혜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1,077
어제
3,576
최대
3,576
전체
986,728
Copyright © PONO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