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금 집값 폭등이 오기엔 국민들이 돈이 없어요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다시금 집값 폭등이 오기엔 국민들이 돈이 없어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태양은가득히
댓글 0건 조회 39회 작성일 25-10-18 14:40

본문


💰 1. 가계대출이 ‘역대급’이라는 건 무슨 의미인가





  • 2025년 현재 가계부채는 GDP 대비 105~110% 수준으로, OECD에서도 상위권입니다.




  • 특히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금리가 아직 높기 때문에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큽니다.




  • 대출 여력이 줄면 신규 수요도 줄고, 기존 매수자들도 추가 매입 여력이 거의 없습니다.




👉 즉, “수요 쪽이 질식된 시장”이에요.




🏦 2. 금리·대출규제 환경이 여전히 ‘긴축적’




  • 기준금리가 3%대 중후반, 시중은행 주담대 금리는 여전히 5~6%대 수준입니다.




  • 정부가 일시적으로 완화 정책(청년 LTV 완화 등)을 내놨지만, 시장 전체 유동성을 늘리는 수준은 아닙니다.




  • 은행들도 DSR 40% 규제 때문에 실제로 대출을 해줄 여력이 제한적이죠.




👉 즉, 돈을 빌려 집을 살 사람이 줄어들었어요.




📉 3. 거래량이 회복되지 않음




  • 서울 전체 거래량은 여전히 코로나 전 수준의 30~40%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 일부 강남권·신축·한강변 등은 거래가 몰려 “국지적 폭등”이 나타나지만,

    외곽(노원, 도봉, 강북, 금천 등)은 거래 절벽이 지속되고 있어요.




👉 전체적으로 보면 “양극화된 시장”, 즉 부분 상승 + 다수 정체 구조입니다.




🧩 4. 그럼 왜 언론엔 ‘폭등’ 뉴스가 나오냐





  1. 국지적 반등을 과장하는 경우 — 예를 들어, 한강변 초고가 아파트나 신축 단지 일부만 가격이 뛰어도 평균값이 확 올라갑니다.





  2. 기저효과 — 2023~2024년 하락분이 컸기 때문에, 그 이후 10~15% 반등해도 “폭등”처럼 보이는 착시가 생깁니다.





  3. 정책·선거 영향 — 정부 정책, 규제 완화 기대감, 또는 정치 이벤트에 따라 언론 보도가 과열되기도 합니다.






📊 5. 실제로는 이런 흐름일 가능성이 큼




구분 최근 1년 가격 흐름 특징
강남·서초·송파 +10~20% 반등 신축·한강 조망권, 재건축 수요
성동·용산·마포 +5~10% 상승 교통·직주근접 인기 지역
강북·노원·도봉·금천 등 0~+3%, 일부 하락 실수요 위주, 매수세 약함
수도권 외곽 (김포, 인천, 남양주 등) -2~+2% 미분양과 전세가율 하락 여전



👉 결국 국지적 강세 + 전체 정체 구조입니다.


 



국민들이  돈이 없는데 일부지역을 올리는건 이미 폭등전에 그 지역에 집을 샀던 분들과


경제적 여유있는 일부 부자들인건데 딱 그게 전부인거죠.


그러니 서울도 윤석열시절에도 집값 상승을 크게 못한 이유이기도 하죠


돈이 없습니다. 국민들이 


이게 가장 크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CODE404 / 대표 : 이승원
주소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138-30, 9층
사업자 등록번호 : 456-03-01654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20의정부호원0046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지혜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2,018
어제
3,375
최대
3,749
전체
1,102,694
Copyright © PONONG All rights reserved.